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복구 정보

외장하드 인식불가, 인식오류, 인식 안될 때 - 점검하고 해결하기

by 데이터 복구 엔지니어 2021. 12. 8.

외장하드 인식불가, 인식오류, 인식 안될때 - 확인 단계

1. 외장하드 연결 케이블 문제

외장하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가장 쉽게 해볼 수 있고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 입니다. 케이블은 전원이 제대로 공급해주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데이터의 송수신 역할도 합니다. 케이블에 문제가 생긴다면 당연히 데이터 송수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오류가 생길 수 있고 전원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작동을 할 수 없어 오류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2. 전원 문제 - 다른 컴퓨터에 연결

전원이 생성되는 곳이 컴퓨터나 노트북에 연결할 수 있는 USB포트 입니다. 이 부분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전원을 제대로 공급할 수 없으며 컴퓨터에 연결도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다른 USB포트에 연결해보거나 다른 컴퓨터, 노트북에 연결해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3. 디스크 관리자 - 연결 확인

외장하드를 연결했을 때 외장하드에서 나는 동작 소리가 난다면 전원은 공급되는 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원이 공급이 되더라도 디스크 구성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다면 내 컴퓨터에 보이지 않습니다. 디스크 구성이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순서는 '내 컴퓨터' 우클릭 -> '관리' -> '디스크 관리' -> 디스크 용량이 제대로 표시되는지 확인

 

디스크 목록에서 용량이 표시된다면 연결은 되었다는 것입니다. 만약 디스크 할당이 되지 않았다면 논리적으로 오류가 발생했기 때문에 복구 작업을 진행하면 되는 것이며 디스크 목록에 없다면 전원은 들어가지면 컴퓨터에 인식이 안되었다는 것입니다. (물리적 손상)

 

외장하드 인식불가, 인식오류, 인식 안될때 - 점검해보고 원인 분석해보기

외장하드를 사용하다보면 컴퓨터에서 인식이 되지 않아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외장하드도 전자제품이다 보니 충격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사용중에 여러가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오류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소프트웨어 오류 (논리적 손상)

- 대표적인 증상 : 포맷 오류 메세지, 액세스 거부 메세지, I/O 장치 메세지

외장하드 연결를 연결 했을 때 전원은 정상적으로 인가되지만 컴퓨터 상에서 알 수 없는 오류로 인하여 외장하드에 접근이 되지 않는 상태를 소프트웨어 오류라고 합니다. 이 상황은 외장하드를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Data 값에 손상이 발생한 부분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외장하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장하드가 기계적으로 고장난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복구율 또한 거의 100%에 가까우며 작업 시간도 짧은 편에 속합니다. 

 

- 주의사항

외장하드가 정상적으로 작동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읽기/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외장하드에 저장된 파일이 중요하다면 Data 값에 변형이 가지 않도록 알 수 없는 프로그램 사용이나 포맷, 볼륨 삭제 등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2. 배드섹터 (Bad Sector), PCB 기판 오류

- 대표적인 증상 : 외장하드 연결 했을 때 응답 없음, 컴퓨터 멈춤, 재부팅, 블루스크린, 부팅 다운

예를 들어 1TB 외장하드에는 약 20억개의 섹터가 순서대로 나열 되어있습니다. 컴퓨터에서 외장하드를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는 섹터 단위를 스킵하여 건너 뛸 수 없기 때문에 배드섹터인 부분을 만났을 때는 읽지 못하여 뒤 섹터를 읽지 못하고 멈추게 됩니다. 손상된 섹터이기 때문에 해당 섹터를 계속해서 읽기 시도를 하게 되면 더욱 큰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배드섹터가 있을 시에는 가급적 연결을 피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PCB 기판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도 연결 시에 컴퓨터가 느려지거나 컴퓨터가 갑자기 꺼지는 등 블루스크린이 발생하여 컴퓨터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잘못된 PCB 기판에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외장하드 내부에도 손상이 누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연결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주의사항

배드섹터의 경우 내부 저장된 공간의 아주 미세한 손상이기 때문에 복구율 또한 높으며 복구 작업 소요시간이 적게 드는 편입니다. PCB기판 문제일 경우 수리나 동일 모델 교체 작업을 통해 복구 시킬 수 있는데 PCB 회로 기판과 HDD의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교체 작업을 한다면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3. 하드웨어 오류 (물리적 손상)

- 대표적인 증상 : 끼익끼익 소리, 딸깍딸깍 소리, 비프음 소리, 무반응

외장하드 자체적으로 손상이 생겼을 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대부분 착각하는 것은 충격이 있어야 물리적인 손상이 발생한다고 생각하는데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전자제품이기 때문에 사용중 언제든지 외장하드에 결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집에 있는 가전제품이 갑자기 사용중에 고장이 나는 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물리적 손상이 발생되었을 때는 절대적으로 전원을 연결시키면 안됩니다. 고장난 부품이 작동을 하면 지속적으로 내부에 손상이 발생하는데 심각할 경우 복구할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고장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물리적 손상이 발생했을 경우 복구가 필요하다면 필수적으로 외장하드 안에 들어있는 디스크를 분해해야 하는데 장비가 없는 장소에서 분해했을 경우 내부에 심각한 손상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를 분해하면 내부에 은색 원판 모양의 부품이 있는데 지문이라도 찍히거나 이물질이 묻어버리면 완전히 외장하드는 고장났다고 보시면 됩니다. 먼지가 내려앉아 붙을 수도 있기 때문에 방진시설이 없는 곳에서 오픈을 하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외장하드 인식불가, 인식오류, 인식 안될때 - 해결 방안

 

1번의 경우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조금 갖추어져 있다면 해결하는데 크게 무리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2번과 3번의 상태라면 절대 전문가가 아닌 상태로 복구 작업을 해서는 안됩니다. 손상이 발생한 순간 돌이킬 수 없기 때문에 무조건 전문 센터에 의뢰를 해야 합니다.

 

- 전문 센터에 의뢰 시 주의 사항

데이터 복구 업체에 의뢰를 할 경우 업체의 규모, 장비, 경력 등을 꼭 확인하시고 의뢰를 하셔야합니다. 비용이 저렴하다고 해서 덜컥 의뢰를 맡길 경우 복구 불가능 상태의 손상을 발생 시킬 수 있으며, 복구 실패를 하고 다시 다른 업체에 의뢰를 했을 때 기존 비용의 1.5~2배의 비용이 발생하며, 작업했던 흔적은 숨길 수 없습니다.